본문 바로가기

글/나의 생각, 나의 삶

(18)
토스 입사 후 7주간의 생활과 생각정리 그간의 회사생활 입사하고 7주가 지났다. 7주동안 54개의 PR을 올렸다. 진짜 시간 가는 줄 모르고 하루종일 문제를 풀었다. 현재 신규회원을 모으기 위한 서비스를 만들고 있다. 도메인은 정해져 있지 않고, 신규 회원을 모을 수 있다면 어떤 일이든 한다. 그러다보니 아이디에이션에도 많이 참여한다. 스타트업에서 일하는 기분이다. 토스는 수백개의 스타트업이 모인 조직이라고 들었는데, 진짜다. 각각의 팀이 스타트업 형태로 일한다. 그러면서 공동의 목표를 공유한다. 승건님이 말씀하시는 피자 두판의 법칙이란게 있는데, 한 팀의 인원이 8명이 넘으면 비효율, 불통이 생긴다는 것이다. 토스는 이런 가치를 지키기 위해서 조직을 나누고 나눠서, 소규모 스타트업 형태로 운영한다. 매력적이다. 데이터 기반 사고가 재밌다. ..
토스 & 우아한형제들 합격, 회사 선택 이유와 앞으로의 목표 서언 안녕하세요. 이번에 신입 프론트엔드 개발자 채용을 거쳐 토스(코어)와 우아한형제들에 합격했습니다. 프론트엔드 개발자로서 두 회사 모두 객관적으로 너무나 좋은 회사들이고, 저에게 과분한 기회가 찾아왔다고 생각합니다. 둘 다 엄청나게 가고 싶은 회사였기 때문에, 하나를 놓는다는게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었습니다. 이 글은 회사의 우열을 따지지 않으며, 저의 주관적인 선택 과정을 담습니다. 내적으로 이미 정했지만, 스스로 합리화하지 않으면 아쉬움이 떠나가지 않을 것 같아 명문화해 봅니다. 외부적인 기준을 비교하는 과정 저는 회사에 다녀본 적이 없었기 때문에 선택이 특히나 어려웠습니다. 처음에 두 회사를 두고 외부적인 기준을 비교했습니다. 지인들에게서 이 회사는 이래서 좋더라, 저 회사는 저래서 좋더라 하는..
크루들과 나눈 우아한 대화 #1 (React rendering, commit phase, memo) 크루들과 나눈 우아한 대화 #1 아놀드, 병민, 앨버와 아주 재밌는 대화를 나누었고, 많이 배웠다. 대화의 시작은 이러했다. "Props로 item 정보가 담긴 객체와 아이템을 삭제하는 함수 (deleteItem)을 넘겨준다고 했을 때, useCallback과 memo로 초기화 하는 것이 의미가 있을까?" return ( itemList.map(item => ) ) 이 상황에서 하나의 item이 업데이트 되면, 모든 Item이 리렌더링 될 것이다. 내가 가진 의문은, 연관없는 Item 컴포넌트가 다시 그려질지언정, Item이 같은 것을 그리고 있다면 diff 알고리즘이 바뀌었다고 인식하지 않기 때문에, 리렌더링 하지 않을까? 하는 것이었다. 내가 잘못 알거나 / 얕게 알고있었던 것은 - 렌더링이란 (함수..
얼마나 빠르냐 하는 것보다, 해내냐 마느냐하는 문제 20210916 삶을 살아가다 보면, 몇몇 문제에 국한하여 얼마나 빠르게 해내느냐 보다, 결국엔 해내냐 마느냐가 중요한 문제가 있다. 나는 자신의 꿈을 찾는 것이 그 대표적 사례라고 생각한다. ​ 풀어보자면, 꿈을 찾는 행위는, 얼마나 이른 나이에 찾아내느냐 보다는 결국엔 찾느냐 마느냐 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것이다. 그 이유는 꿈을 찾는 행위 자체가 절대로 쉽지 않은 행위이기 때문이다. 꿈을 직업이라는 좁은 꿈에 한정시켜 말하는 것은 아니다. 주변을 돌아봐도 꿈을 찾지 못 하고 늙어가는 사람이 훨씬 많고, 그 중에서 꿈을 찾기를 포기한 사람이 대다수이다. 결국 타협하고, 결국 현실에 온전히 스며들어 살아간다. 현실에 없는 이상, 낙원을 꿈꾸는 행위는 철이 없는 행동으로 치부한다. 그렇다고 그들이 행..
단 하루도 치열하지 않았던 적이 없다 고 말할 수 있는 1년을 살아야 한다. 20210825 전공이 무엇이든 상관 없다. 누구나 1, 2년이면 전문가가 될 수 있다. 그러니까, 가장 중요한 것은 자신이 즐겁게 할 수 있는, 의미를 부여하며 할 수 있는 일을 찾는 것. 그 일만 찾아내고, 2년만 콤팩트하게 사용하면 누구나 잘 해질 수 있다. ​ 단 하루도 그냥 살지 않은 하루가 없다. 단 하루도 치열하지 않았던 적이 없다. 라고 말할 수 있는 기간이 최소 1년이 넘어야 한다. ​ 자신이 정녕 한 분야의 전문가가 되고자 한다면, 자신이 정의한 어떠한 성공을 바란다면, 올바르고 장기적이고 치열한 생활습관을 형성하자. ​ 더 이상 연료를 붓지 않아도 자연스레 전진하는 삶. ​ 그런 환경을 만들자. 그런 목표를 만들자. ​ 올해 하반기 치열하게 살아서, 웹 프론트앤드 실력을 많이 올리고,..
우리는 동물원 속 동물을 자유롭다고 말하지 않는다. 20210502 우리는 동물원 속 동물을 자유롭다고 말하지 않는다. 우리는 선택에 있어 자주 자유롭다고 오해한다는 생각이 든다. ​ 무슨 말이냐면, 우리나라 인문계 고등학생 중 90% 이상이 대학에 진학한다. 공부를 나름 열심히 했던 집단으로 좁혀보자면, 99% 학생이 대학에 진학하는 꼴일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우리가 어떤 대학을 자유롭게 목표로 하고, 하나를 선택하여 진학하는 것에 대해 우리는 "자유롭게 선택했다"라고 부를 수 있을까? ​ 자기 생각의 기준에서 조금이라도 벗어난 생각을 한 사람에 대하여, 그리도 날카로운 비판을 자행하는데, 우리는 온전히 자유롭다고 할 수 있을까? 결과적으로 자신이 선택했을 뿐, 선택 과정에서 심리적인, 물리적인 압박이 전혀 없었느냔 말이다. ​ 학창시절 공부를 하지 ..
개발자의 진입 장벽 20210428 개발자로서 자신을 증명하는 방법은, 여실히 자신의 실력을 보여주는 방법 밖에 존재하지 않는다. 어리다거나, 나이를 먹었다거나, 학벌이 어디라든가, 전공이 무엇이라든가 하는 외부적인 요소는 평가에 중요하지 않다. ​ 그러므로 고등학생때부터, 바로 취직을 생각하고 대학교에 진학하지 않는 사람들도 다수 있는 것으로 안다. 게다가 최근에는 소프트웨어 고등학교가 몇개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고졸도 대졸과 경쟁할 수 있다. 비전공자와 전공자가 경쟁할 수 있다. ​ 이런 분야가 몇이나 되는가? 경제학에서 고등학생이 대학생과 경쟁이 가능했는가? 철학에서 고등학생이 대학생과 경쟁이 가능했는가? 학문에서 엄청난 깊이를 요구하거나, 엄청난 공부양을 요구한다면, 고등학생이 넘기에는 너무나 높은 진입장벽으로 ..
도전해보지 않은 자들에게 합리란 도전하지 않는 것이다. 20210326 도전해보지 않은 자들에게 "합리"란 "도전하지 않는 것"이다. ​ 우리는 합리(合理 : 이치에 맞다)라는 말을 언제 사용하는가. 어떤 엄격한 기준을 가지고 합리를 논하는가? ​ 이와 같은 말에서 정답을 알 수 있다. "그의 입장에서 합리적이었어." "그때는 그렇게 판단하는 게 합리적이었어." ​ 합리란 상황에 따라 가변적이다. 합리라는 단어를 우리가 잘못 이해하고 사용하고 있는지도 모르지만, 나는 "단어의 올바른 사용방법"보다, "인간의 의식 작용"에 대해서 이야기 하고 싶다. "합리적"이라고 판단하게 되는 인간의 사고 과정에 대하여. ​ 언젠가 유튜브에서 도전하는 방법에 대한 강연을 본 적이 있다. 히말라야 등반에 성공하고, 비행기 조종사가 된 용감한 사나이였는데, 사실 강연 내용은 하..
격언의 부조리함. (feat. 밀란 쿤데라) 20210228 “수적천석(水滴穿石) : 물방울이 바위를 뚫는다.”와 “계란으로 바위치기” “인생은 타이밍이다.”와 “돌다리도 두들겨 보고 건너라” “해봐야 안다.”와 “똥인지 된장인지 꼭 찍어 먹어봐야 아는가?” 언젠가 격언이란 우습다고 생각이 들었다. 격언을 자주 뱉는 사람은 자기모순에 빠질 수밖에 없다. 격언은 그들끼리 부조리하기 때문이다. 왜 이런 생각을 시작했는지 돌아보면, 나는 삶의 법칙을 찾고 싶었던 것 같다. “A 상황에 맞닥뜨렸을 때 A`으로 행동해야지”의 A`을 정해두고 싶었다. 삶은 불안하고, 여러 변수들 사이에서 어찌 해야 할지 모르겠는 상황이 너무나 많았다. “계란으로 바위치기”라고 생각했다가도, “물방울이 바위를 뚫는” 사람을 보았다. 돌다리를 두들기다가 여러 기회를 놓쳐 보았다..
옛날 사람들이 불행했을 것이라는 생각 20210224 영하 10도를 넘어가는 추위 속에서 생각했다. ‘옛날 사람들은 정말 불행했겠구나.’ 따뜻한 패딩을 입고 있어도 이리도 추워 삶의 의지가 잠깐 사라져버리는데, 그들은 어떠했겠는가. 문명의 발전에 감사했고, 현 시대에 살아감에 충분함을 느꼈다. 오늘은 문득, 우리 삶에서 유용하다고 할 만한 물건이 무엇인지에 대해 생각해보았다. 단연, 스마트폰과 무선이어폰이 포함될 것이다. 마스크와 이어폰이 충돌하지 않게끔 해준 무선이어폰의 발명이 새삼 즐겁게 다가왔다. 그러면서, ‘당연하게’ 에어팟을 끼고 ‘당연하게’ 따뜻한 패딩을 주워 입고 밖으로 나왔다. 사실 그것들의 존재를 온전히 느끼지 못 하고 있었다. “부재가 더욱 존재다.”라는 말을 참 좋아한다. 존재는 존재를 느끼게 하지 않는다. 부재가 존재를..